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민주당에 위원회가 넘쳐나고 있습니다. <br> <br>확인해보니 이재명 대표 취임 후 무려 스무 개 가까이 만들어졌습니다. <br><br>이러다 보니 자기가 어느 위원회 소속인지도 헷갈리는 의원들이 있다고 합니다. <br> <br>왜 이렇게 된 걸까요?<br><br>윤수민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[이재명/ 더불어민주당 대표 (지난 12일)] <br>"당내에 기본사회위원회를 설치하겠습니다." <br> <br>[안호영/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 (지난 16일)] <br>"기본사회위원회, 헌법개정 특위, 경제안보센터 3개 특별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습니다." <br> <br>[장경태 / 더불어민주당 정치혁신위원회 위원장 (지난 6일)] <br>"정치혁신위원장 맡은 장경태 최고위원입니다." <br> <br>[김경협 / 더불어민주당 한반도평화경제특위 위원장 (지난 9일] <br>"한반도평화경제특위 출범식에 참석해주신…" <br><br>민주당이 새해 들어 약 20일 동안 출범했거나 출범 계획을 밝힌 당내 기구만 7개에 달합니다. <br><br>이재명 대표 취임 이후로 넓혀보니 취재 결과 5개월 동안 최소 19개의 비상설위원회와 특별위원회가 출범했습니다. <br> <br>윤석열 대통령의 비속어 논란 때처럼 대정부 공세에 나설 때마다 특위가 꾸려졌습니다.<br> <br>하지만 출범한 지 꽤 시간이 지났는데도 아예 활동이 없거나 성과를 내지 못하는 특위도 있습니다.<br><br>우후죽순 생기다 보니 특위 3, 4개에 모두 이름을 올린 의원도 있습니다. <br><br>한 의원은 "누가 어디에 속했는지조차 알기 어렵다"고 지적했고, 또 다른 의원도 "여러 특위를 병행하고 있어 현안에 집중할 수 없다"고 토로했습니다.<br> <br>민생 관련 특위보다 대표 사법리스크에 대응하는 특위가 더 활발하게 운영된다는 비판도 있습니다.<br><br>당내에서도 양보다는 내실 있는 운영으로 성과를 내는 게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윤수민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김민정<br /><br /><br />윤수민 기자 soom@ichannela.com